건강하게 살자
궂은 날만 되면 왜 관절이 쑤시고 아플까?
장마철 기압이 떨어지고 습도가 올라가면 관절에 통증을 느끼는 사람이 많다. 의사들은 맑은 날 균형을 이루고 있던 관절 내부 압력의 균형이 깨지면서 염증 부위가 부어오르기 때문으로 설명한다. 즉 습도가 높아지면서 체내 수분이 증발하지 못하고 남아 있게 되면서 부종(붓는 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관절이 뻣뻣해 지고 통증이 가중된다는 설명이다.
갑작스런 기온과 기압, 습도의 변화 때문에 관절 주위의 근육, 뼈, 힘줄 등이 뭉치거나 신경이 예민해져 통증을 일으킨다는 설명도 있다. 이런 이유를 종합할 때 맑은 날보다는 춥고, 구름이 끼고, 습도가 높은 날 통증은 더 심해진다는 게 환자와 의사들의 공통된 경험이다.
그러나 날씨와 관절 통증과의 상관관계가 의학적으로 완전히 입증된 것은 아니다. 궂은 날씨에 관절염이 심해진다는 연구결과도 있고 그렇지 않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때문에 어떤 의사들은 관절염은 심리 상태에 따라 좌우되며, 따라서 날씨가 나쁘면 기분이 우울해져 통증을 더 예민하게 받아들인다는 주장도 있다.
또 날씨가 나쁘거나 장마철엔 평소보다 활동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관절이 뻣뻣해 지는 증상이 심해지는 것이지 날씨 자체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궂은 날씨가 직접 관절을 아프게 하든 아니면 심리적 원인이든 아픈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우선 운동으로 관절통증을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하고 체중이 실리지 않는 운동, 예를 들어 수영이나 간단한 체조-스트레칭을 꾸준히 해야 한다. 아프거나 비가 온다고 운동을 중단하면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통증이 심한 경우엔 무리하게 수영을 하기 보다 수영장에서 걷기를 하는 게 가장 좋다. 일주일에 4~5회, 한번에 30~40분씩 수영장 걷기를 하면 관절염과 통증의 조절에 매우 효과가 좋다. 수영후에는 반드시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해서 뭉쳐 있는 근육을 풀어주는 게 좋다. 수영장에 가기가 곤란하면 집 안에서 제자리 걷기나 스트레칭을 하면 된다.
무릎의 상태에 따라 쿨팩과 핫팩을 해 주는 것도 관절염과 통증 조절에 도움이 된다. 관절이 붓고 빨개질 때는 찬 물수건이나 얼음 주머니로 쿨팩을 해 줘야 하며, 관절이 붓지 않은 경우엔 따뜻한 물수건으로 핫팩을 해 주는 게 좋다. 따뜻한 욕조에 아픈 관절 부위를 담그고 마사지를 하거나 굽혔다 폈다 하는 운동을 하는 것도 좋다.
추위는 관절통증을 악화시키므로 냉방이 너무 심한 곳을 피하고, 직접 에어콘 바람을 쐬는 것도 삼가해야 한다. 냉방이 잘 된 사무실에서 근무할 때는 관절이 굳지 않도록 옷을 좀 두텁게 입거나, 무릎에 무릎 덮개 같은 것을 덮어주는 것도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긍정적인 생각이다. 날이 궂기 때문에 통증이 심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부정적 예언’은 현실에서 그대로 이뤄진다. 진짜 아프게 된다는 말이다. 부정적인 마음가짐은 모든 병을 악화시키는 최악의 인자다. 반대로 긍정적인 생각을 그 어떤 약보다 효과가 좋은 만병 통치약이다.
약에 대한 임상시험을 할 때 가짜 약을 복용시켜도 20~30%는 좋아지기 때문에, 진짜 약을 먹였을 때 나타나는 효과에서 이 만큼을 감하는데, 이를 ‘플라시보 효과’라 한다. 그만큼 마음가짐이 중요하므로 장마철 이겨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생각하는 게 좋다.
장마철 기압이 떨어지고 습도가 올라가면 관절에 통증을 느끼는 사람이 많다. 의사들은 맑은 날 균형을 이루고 있던 관절 내부 압력의 균형이 깨지면서 염증 부위가 부어오르기 때문으로 설명한다. 즉 습도가 높아지면서 체내 수분이 증발하지 못하고 남아 있게 되면서 부종(붓는 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관절이 뻣뻣해 지고 통증이 가중된다는 설명이다.
갑작스런 기온과 기압, 습도의 변화 때문에 관절 주위의 근육, 뼈, 힘줄 등이 뭉치거나 신경이 예민해져 통증을 일으킨다는 설명도 있다. 이런 이유를 종합할 때 맑은 날보다는 춥고, 구름이 끼고, 습도가 높은 날 통증은 더 심해진다는 게 환자와 의사들의 공통된 경험이다.
그러나 날씨와 관절 통증과의 상관관계가 의학적으로 완전히 입증된 것은 아니다. 궂은 날씨에 관절염이 심해진다는 연구결과도 있고 그렇지 않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때문에 어떤 의사들은 관절염은 심리 상태에 따라 좌우되며, 따라서 날씨가 나쁘면 기분이 우울해져 통증을 더 예민하게 받아들인다는 주장도 있다.
또 날씨가 나쁘거나 장마철엔 평소보다 활동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관절이 뻣뻣해 지는 증상이 심해지는 것이지 날씨 자체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궂은 날씨가 직접 관절을 아프게 하든 아니면 심리적 원인이든 아픈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우선 운동으로 관절통증을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하고 체중이 실리지 않는 운동, 예를 들어 수영이나 간단한 체조-스트레칭을 꾸준히 해야 한다. 아프거나 비가 온다고 운동을 중단하면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통증이 심한 경우엔 무리하게 수영을 하기 보다 수영장에서 걷기를 하는 게 가장 좋다. 일주일에 4~5회, 한번에 30~40분씩 수영장 걷기를 하면 관절염과 통증의 조절에 매우 효과가 좋다. 수영후에는 반드시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해서 뭉쳐 있는 근육을 풀어주는 게 좋다. 수영장에 가기가 곤란하면 집 안에서 제자리 걷기나 스트레칭을 하면 된다.
무릎의 상태에 따라 쿨팩과 핫팩을 해 주는 것도 관절염과 통증 조절에 도움이 된다. 관절이 붓고 빨개질 때는 찬 물수건이나 얼음 주머니로 쿨팩을 해 줘야 하며, 관절이 붓지 않은 경우엔 따뜻한 물수건으로 핫팩을 해 주는 게 좋다. 따뜻한 욕조에 아픈 관절 부위를 담그고 마사지를 하거나 굽혔다 폈다 하는 운동을 하는 것도 좋다.
추위는 관절통증을 악화시키므로 냉방이 너무 심한 곳을 피하고, 직접 에어콘 바람을 쐬는 것도 삼가해야 한다. 냉방이 잘 된 사무실에서 근무할 때는 관절이 굳지 않도록 옷을 좀 두텁게 입거나, 무릎에 무릎 덮개 같은 것을 덮어주는 것도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긍정적인 생각이다. 날이 궂기 때문에 통증이 심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부정적 예언’은 현실에서 그대로 이뤄진다. 진짜 아프게 된다는 말이다. 부정적인 마음가짐은 모든 병을 악화시키는 최악의 인자다. 반대로 긍정적인 생각을 그 어떤 약보다 효과가 좋은 만병 통치약이다.
약에 대한 임상시험을 할 때 가짜 약을 복용시켜도 20~30%는 좋아지기 때문에, 진짜 약을 먹였을 때 나타나는 효과에서 이 만큼을 감하는데, 이를 ‘플라시보 효과’라 한다. 그만큼 마음가짐이 중요하므로 장마철 이겨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생각하는 게 좋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 | 운동의 힘은 ‘허벅지~허리’에서 나온다 | 운영자 | 2005.12.11 | 695 |
2 | 삼림욕으로 몸과 마음 깨끗이 | gichun | 2004.07.06 | 393 |
» | 궂은 날만 되면 왜 관절이 쑤시고 아플까? | gichun | 2004.07.06 | 350 |